Git Branch3 Git - 3.3 브랜치 - 브랜치 워크플로 Long-Running 브랜치 Git은 꼼꼼하게 3-way Merge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한 브랜치를 다른 브랜치와 여러 번 Merge 하는 것이 쉬운 편이다. 그래서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용도에 따라 브랜치를 만들어 두고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브랜치를 다른 브랜치로 Merge 한다. 이런 접근법에 따라서 Git 개발자가 많이 선호하는 워크플로가 하나 있다. 배포했거나 배포할 코드만 master 브랜치에 Merge 해서 안정 버전의 코드만 master 브랜치에 둔다. 개발을 진행하고 안정화하는 브랜치는 develop 이나 next 라는 이름으로 추가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 브랜치는 언젠가 안정 상태가 되겠지만, 항상 안정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 테스트를 거쳐.. 2020. 7. 4. Git - 3.2 브랜치와 Merge의 기초 브랜치와 Merge의 기초 실제 개발과정에서 겪을 만한 예제를 하나 살펴보자. 브랜치와 Merge는 보통 이런 식으로 진행한다. 웹사이트가 있고 뭔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새로운 이슈를 처리할 새 Branch를 하나 생성한다. 새로 만든 Branch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중요한 문제가 생겨서 그것을 해결하는 Hotfix를 먼저 만들어야 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다. 새로운 이슈를 처리하기 이전의 운영(Production) 브랜치로 이동한다. Hotfix 브랜치를 새로 하나 생성한다. 수정한 Hotfix 테스트를 마치고 운영 브랜치로 Merge 한다. 다시 작업하던 브랜치로 옮겨가서 하던 일 진행한다. 브랜치의 기초 먼저 지금 작업하는 프로젝트에서 이전에 master 브랜치에 커밋을 몇 .. 2020. 7. 4. Git - 3.1 브랜치 브랜치 브랜치 만들기 - $git branch testing Git은 아직 master 브랜치를 가리키고 있다. git branch 명령은 브랜치를 만들기만 하고 브랜치를 옮기지 않는다. 브랜치간 이동은 git checkout 을 사용한다. 브랜치가 가리키는 커밋 확인하기 “master” 와 “testing” 이라는 브랜치가 957c8d4 커밋 옆에 위치하여 이런식으로 브랜치가 가리키는 커밋을 확인할 수 있다. 1. master에 커밋하기 master 만 앞으로 이동하고 testing은 그대로인 상태. 그 후 testing으로 돌아가기(git checkout testing) 2. 브랜치에 파일 커밋하기 파일 수정 후 commit 후 log를 살펴봤다. master가 보이지 않고 testing 만 보이는것.. 2020. 7.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