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ue2 C++ 자료구조 - Queue Queue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 1. 사용 - #include 2. 생성자 - queue [변수이름]; 3. 멤버함수 - qu.empty(); - 비어있는지 확인 - qu.size(); - 크기 반환 - qu.front(); - 맨 위에 있는 원소 반환 - qu.back(); - 맨 마지막에 있는 원소 반환 - qu.push(val); - 데이터(val) 삽입 - qu.pop(); - 제일 오래된 원소 삭제 아래 링크 설명이 좋아 직접 타이핑하면서 외우는중 출처 https://blockdmask.tistory.com/101?category=249379 2020. 6. 23. C++ 자료구조 정리 1. LIST - 더블 링크드 리스트로 구현되어 있다. - 더블 링크드 리스트의 장점을 그대로 가져오며 중간에 삽입/삭제가 빠르다. - 하지만 특정 원소에 접근하려면 선형탐색을 해야한다. 상호 포인터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비율이 높다. 2. Stack 3. Queue 4. Vector - 배열인데, 동적으로 크기를 확장 또는 축소가 가능하게 되어있는 자료구조(크기조절 시 오버헤드 큼) - 역시 배열의 특징을 그대로 가져온다. 데이터의 위치를 알고 있으면 랜덤 엑세스가 가능하다. - 하지만 중간에 데이터를 삽입 또는 제거하려면 땡기거나 밀어야 되는 단점도 그대로 가지고 온다. - 하지만 끝부분에 삽입할 땐 빠름 5. Deque(덱) - LIFO, FIFO 두 가지 방식을 다 사용할 수 있는.. 2020. 6. 19. 이전 1 다음